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변화3

처음 만나는 명상 레슨 왜 명상을 해야 하는가 명상을 하면서 알게 되는 다르마(우주의 진리, 즉 우주의 법칙과 그 법칙에 대한 가르침)의 첫 번째 특징은 덧없음과 불확실성입니다. 불교 경전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세상을 덧없이 사라지는 것으로 보십시오. 새벽별, 물거품, 여름 구름 속의 번개, 메아리, 무지개, 허깨비, 꿈을 떠올려 보십시오." 당신이 고요해지면 고요해질수록, 더 자세히 관찰하면 할수록, 당신이 지금 보고 있는 모든 것이 끊임없이 변하는 것임을 더욱 실감하게 됩니다. 대개 우리는 경험이나 성격, 세상, 감정, 생각 등이 변하지 않는 고정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은 마치 영화를 보는 것과 같습니다. 영화의 이야기에 사로잡힌 나머지 자신이 보는 것이 사실은 스크린에서 명멸하는 빛의 .. 2023. 4. 12.
하루의 명상 마음속 수다쟁이와 그의 친구 마음속에는 수다쟁이가 하나 있어서, 온종일 우리가 하는 일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늘어놓는다. 이 수다쟁이를 비평가라고 부른다. 항상 불안하고 불만에 차 있는 비평가의 말에 귀를 기울이면 일상에서 만족을 느끼는 방법을 잊어버린다. 비평가에게는 관찰자라는 친구가 있다. 비평가와 함께 마음속에 사는 관찰자는 매 순간에 머무르면서 현재에 사는 일이 어떤 즐거움을 주는지 알려준다. 비평가보다는 관찰자의 말을 듣는 편이 우리에게 이롭지만, 보통은 더 어렵다. 존 카밧진은 내면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생각과 감정의 굴레를 격류에 비유했다. 비평가는 거친 물소리에 묻히지 않도록 우리를 향해 있는 힘껏 소리를 질러대는 반면, 관찰자는 강둑에 조용히 앉아서 들어오는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 마음의 .. 2023. 4. 10.
잠재의식은 마음대로 움직여지지 않는다. 잠재의식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오직 당신의 현재의식뿐이다. 잠재의식은 기계와도 같다. 뭐든지 해낼 수 있으나 그것을 운전하는 사람이 반드시 필요하다. '운전하는 사람이란' 나를 의식하는 마음이다. 즉, 현재의식이다. '내가 내 운명을 좌우할 수 있다'는 말은 바로 이러한 까닭이다. 어떻게 만능의 잠재의식을 스스로 자유롭게 운전할 수 있을까? 잠재의식에 바람직한 인상과 암시만이 심어질 수 있도록 내가 의식적으로 컨트롤하면 된다.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다는 인상만을 내가 선택해서 잠재의식에 인도하는 것이다. 내가 아무리 몸이 약하거나 머리가 나쁘고 의지가 약한 사람이라도 이 정도의 선택은 할 수 있을 것이다. 머피의 법칙은 세상 사람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법칙이라서 항상 밝은 희망과 기대감이 부풀어.. 2023. 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