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음공부31

참마음은 망심을 쉰 것이다 진심직설-보조선사의 말씀 어떤 이가 물었다. "참마음이 망심 속에 있으면 곧 범부인데, 어떻게 하여야 망심에서 벗어나 성인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내가 답하였다. "옛사람이 말씀하기를 '망심이 없어지는 그곳이 곧 보리이다. 생사와 열반이 본래 평등하다'고 하였고, 또 경(圓覺經)에 이르기를 '중생들의 허깨비와 같은 몸(幻身)이 사라지므로 허깨비와 같은 마음(幻心)도 사라지고, 허깨비와 같은 마음이 사라지므로 허깨비와 같은 번뇌(幻塵)도 사라지고, 허깨비와 같은 번뇌가 사라지므로 허깨비와 같은 열반(幻滅)도 사라지고, 허깨비와 같은 열반이 사라지므로 허깨비(幻)가 아닌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것은 마치 거울을 닦을 때에 때(垢)가 없어지면 광명이 나타나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또 영가현각 스님이 말씀.. 2023. 7. 17.
영원한 지금 글로 마음 공부하기 2023. 7. 3.
야보 도천 오늘의 말씀 2023. 6. 16.
욕망과 행복 쉬기 명상 붓다는 많은 사람이 욕망과 행복을 혼동한다고 자주 말씀하셨습니다. 출가하기 전에 붓다는 왕자로 자랐고, 욕망을 추구하는 삶을 맛보았습니다. 따라서 붓다의 말은 체험에서 나온 것입니다. 붓다는 진정한 행복은 욕망과 소유물은 작게 가지고, 안과 밖에 있는 많은 경이로움을 즐길 수 있는 여유를 누리는 삶에서 온다고 했습니다. 욕망이란 건전하지 못한 갈망에 붙들려 있는 것입니다. 마음이 무언가를 욕망할 때면 그런 마음상태가 있음을 알아차립니다. "이것은 부를 갈망하는 마음이다. 이것은 명성을 욕망하는 마음이다." 마음이 아무것도 욕망하지 않을 때면, 욕망하는 마음이 존재하지 않는 지금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부를 욕망하는 마음이 없을 때 수반되는 여유로움이다. 이것은 명성을 욕망하는 마.. 2023. 6.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