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상14 욕망과 행복 쉬기 명상 붓다는 많은 사람이 욕망과 행복을 혼동한다고 자주 말씀하셨습니다. 출가하기 전에 붓다는 왕자로 자랐고, 욕망을 추구하는 삶을 맛보았습니다. 따라서 붓다의 말은 체험에서 나온 것입니다. 붓다는 진정한 행복은 욕망과 소유물은 작게 가지고, 안과 밖에 있는 많은 경이로움을 즐길 수 있는 여유를 누리는 삶에서 온다고 했습니다. 욕망이란 건전하지 못한 갈망에 붙들려 있는 것입니다. 마음이 무언가를 욕망할 때면 그런 마음상태가 있음을 알아차립니다. "이것은 부를 갈망하는 마음이다. 이것은 명성을 욕망하는 마음이다." 마음이 아무것도 욕망하지 않을 때면, 욕망하는 마음이 존재하지 않는 지금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부를 욕망하는 마음이 없을 때 수반되는 여유로움이다. 이것은 명성을 욕망하는 마.. 2023. 6. 12. 몸을 둘러싼 고통의 껍질 알아차림을 이용하여 우리는 신체적 경험들과 맞서 싸우지 않으면서 그것들에 마음을 열고 정말로 우리 몸 안에서 사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몸의 기쁨과 고통을 더욱 또렷이 느끼게 된다. 우리는 현대문화에 순응하는 과정에서 고통을 피하거나 도망치는 법을 익히기 때문에 고통에 관해 별로 알지 못한다. 몸을 치유하려면 고통을 연구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가 명상수행 중에 만나는 고통들은 신체적 문제를 알리는 신호가 아니다. 그것들은 우리의 감정적, 심리적 그리고 정신적인 응어리나 위축을 드러내는 고통스런 신체적 표시이다. 우리가 인생의 불가피한 난관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편으로써 고통스런 상황에 처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견고하게 만든 몸의 일부분이라는 뜻이다. 웬만큼 편안하게 명상에.. 2023. 6. 3. 바라보기 바라보기는 곧, 용서입니다. 그동안 나 자신을 어떻게 바라봤나요? 그동안 내가 어떤 사람인지 몰랐고, 또 내 모습이 쉬이 보이지 않아 매번 나를 몰아세우고, 또 받아들이지 못해서 괴로웠나요? 지금껏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스스로를 제대로 보지 못했던 당신. 지금 이 순간 나 자신을 온전히 수용하고, 인정하고 지금 이 순간 그저 받아들이고, 또 바라보고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을 그대로 되뇌는 것을 해봅니다. (DAY 1) 표정은 얼굴을 만들고 얼굴은 운명을 바꾼다. 서로의 편안한 얼굴을 바라보는 것이 좋은 인연을 짓는 방법이다. 좋은 얼굴, 좋은 관상은 바라보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미소를 머금은 얼굴, 온화하고 부드러운 얼굴, 당신이 그런 얼굴이다. 나의 표정은 온화하고 편안하다 나의 얼굴은 온화하고 편안하다.. 2023. 6. 2. 명상의 자세와 장소 명상의 자세 처음 시작할 때는 명상의 장소와 함께 명상의 자세가 중요합니다. 명상하는 자세를 바로 잡고 하면, '아 내가 지금 명상을 하고 있구나'하는 의식이 들어서 명상을 집중적으로,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명상을 할 때는 바닥에 앉거나, 의자에 앉아서, 그리고 누워서 해도 좋습니다. 그러나 처음 명상을 시작할 때는 되도록 바닥에 앉아서 명상할 것을 권합니다. 바닥에 앉아서 할 때는 결가부좌 혹은 반가부좌가 좋습니다. 결가부좌는 왼쪽 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올리고, 오른쪽 발은 왼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아서 오른쪽 손등을 왼쪽 손바닥 위에 놓고 모아서 아랫배에 살짝 가져도 놓습니다. 혹은 손바닥을 위로 향해서 무릎 위에 놓아도 됩니다. 무릎이 안 좋거나 신체 구조상 결가부좌가 어려운 사람은 .. 2023. 4. 21.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